AWS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올인원 패키지 : AWS/Docker 클라우드 서버구축👉AWS강의 100% 환급 챌린지 8 회차 미션


25. Chapter 03. Jenkins 소개 및 설치#1

26. Chapter 03. Jenkins 소개 및 설치#1 실습

27. Chapter 03. Jenkins 소개 및 설치#2

28. Chapter 03. Jenkins 소개 및 설치#2 실습

29. Chapter 03. Jenkins 배포 및 파이프라인#3

30. Chapter 03. Jenkins 배포 및 파이프라인#3 실습


jenkins

젠킨스란 지속적으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툴로써  컨티뉴어스 인터그레이션 툴이라고도 하고 줄여서 CI 툴이라고도 불린다. 젠킨스가 하는 역할은 깃헙혹은 빗버킷에 올라가있는 소스를 빌드, 해당 소스를 컴파일 하여 오류를 감지, 테스트 자동화와 맞물려 사용이 가능하며, 개발 서버나 운영 서버에 배포까지 해주는 절차가 가능하다. 

 


jenkins 설치

www.jenkins.io/download/

 

Jenkins download and deployment

Jenkins – an open source automation server which enables developers around the world to reliably build, test, and deploy their software

www.jenkins.io

windows 10 환경에서 설치를 진행하였다.

설치 프로그램 다운로드후 설치를 진행한다. 설치는 local환경에 설치하였다. 설치 완료 후 jenkins 설정 화면이 아래와 같이 나타날 것이다. 안내 경로의 password정보를 입력하자.

표준설치 환경으로 진해한다

jenkins 설치 및 설정이 완료 되어 시작 준비중인 화면이다.

관리자 계정을 생성한다.

jenkins 접속 url을 설정하면 설정이 마무리 된다.

 


Jenkins 환경 설정

jenkins의 java, maven, git을 설정 하도록 한다.  왼쪽 메뉴의 jenkins 관리에서 global tool configuration 메뉴를 클릭한다.

 

jdk가 설치 되어 있지 않다면 jenkins를 통해 jdk 설치가 가능하다.  적당한 name을 입력하고 java 버전을 설정한다. 

installing JDK requires Oracle account, 문구를 클릭하여 jdk 설치시 필요한 oracle 계정 정보도 추가해야 한다.

 

git을 실행하기 위한 git 경로도 설정한뒤 하단의 save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내용을 저장한다.

jenkins item 추가하기

왼쪽 메뉴를 통해 새로운 jenkins item을 추가한다.

 

item(프로젝트)의 설정화면이다. git 정보를 입력한다. bitbucket의 git 정보를 입력하자.

git 저장소 주소와 git 정보가 추가된 화면이다.

build 정보를 추가한다.  maven 을 선택하고 goals 에 package를 입력후 저장한다.

maven 정보도 입력한다. maven 설치 방법은 devpad.tistory.com/19 블로그 글을 참고하였다.

 

git, build 정보를 입력하 왼쪽의 build now를 클릭하여 build test를 진행하게 되면 하단의 build 작업 내역이 출력된다. build 작업을 클릭하여 콘솔을 확인하자.

콘솔 출력을 확인하면 pom.xml파일을 찾을 수 없다는 오류를 출력했다.

jenkins item 설정에서 build 정보에 pom.xml 경로를 추가한다.

다시 빌드를 시도해본다. 성공적으로 빌드를 완료했다.

Jenkins 배포 설정

build가 완료 되었으니 ec2 서버로 배포 하는 작업을 실행 해본다. 실행하기 전에 설정 사항을 확인한다. 먼저 배포에 필요한 플러그인을 설치한다.

ssh 접속을 위한 플러그인을 설치한다.

설치 중인 화면을 볼 수 있다.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왼쪽메뉴의 jenkins 관리 에서 환경설정으로 이동 한다음 하단을 보면 ssh 관련 설정 영역이 추가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ssh 접속 정보를 입력 하기위해 ssh key가 필요하다. 터미널에서 ssh-keygen 명령어를 사용하여 key를 생성한다.

생성된 키 정보를 확인하여 Passphrase에 붙여넣기 한다. 

키 생성후 폴더와 키파일에 권한 설정을 한다.

chmod 700 .ssh/
chmod 600 .ssh/id_rsa
chmod 644 .ssh/id_rsa.pub​

ssh키 정보와 경로 sever 정보롤 입력한다. ec2 접속시 .pem 파일 정보를 꼭 추가해야 한다.

ssh 설정을 마무리하고 지난 시간에 추가한 aws 프로젝트에서 구성관리 페이로 이동한다. 하단의 빌드 후 조치에 대한 설정을 시작한다. 

추가한 ssh설정 내용을 선택하고 추가 설정내용을 입력한다.

빌드 조치 후 설정을 완료했다. 이제 aws 프로젝트를 다시 build하게 되면 빌드 후 서버 배포까지 이루어지게 된다.

 


8일차 마무리

프로젝트를 만들고 설정하고 배포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설정내용이 굉장히 많은 것을 다시 한번 느꼈다. 이를 자동화 하는 부분이 반드시 필요함을 새삼 느꼈으며 jenkins통한 자동화가 개발에만 집중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이 큰 이점이다.


현재 수강중인 강의는 아래와 같다
올인원 패키지 : AWS/Docker 클라우드 서버구축👉https://bit.ly/3bFlm0e